청년도약계좌 혜택 대폭 강화! 가입 조건 총정리

by Crypto Detox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기간이 돌아왔습니다. 이번 8월에는 가입을 원하는 분들께 중요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이번 달의 일정은 다른 달에 비해 짧으므로, 서둘러 준비하셔야 합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지금 바로 청년도약계좌 신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8월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기간은 8월 1일부터 9일까지, 총 7일간 진행됩니다. 보통 2주(평일 기준 10일) 동안 신청 기간이 주어지지만, 이번 달은 주중 일정이 짧아 7일로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가입을 염두에 두고 있는 분들은 빠르게 일정과 가입 요건을 확인하고 신청 절차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8월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이번 8월 청년도약계좌의 상세 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 가입신청 기간: 8월 1일 ~ 9일 (7일간)
  • 1인 가구: 가입요건 확인 8월 12일 ~ 14일, 계좌개설 8월 16일 ~ 9월 6일
  • 2인 이상 가구: 가입요건 확인 8월 12일 ~ 26일, 계좌개설 8월 27일 ~ 9월 6일

특히, 지난 7월에 청년희망적금 만기를 맞은 분들은 8월 30일까지 청년도약계좌에 연계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8월 내 만기가 도래하는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은 9월에 연계 가입 기회가 주어지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주요 혜택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연령: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병역 복무 기간 최대 6년까지 인정, 연령 산정 시 포함되지 않음)
  • 개인소득: 총 급여액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육아휴직자, 군 복무자 (현역병 포함) 가입 가능: 육아휴직 수당 및 군 장병 급여를 개인소득으로 인정
  • 가구소득: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7월부터 2023년 기준으로 변경)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혜택은 납입 금액에 비례하여 소득 구간별 정부 기여금을 지원하고, 해당 금액과 이자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정부기여금 산출방식

정부 기여금은 개인 소득 기준으로 지급 한도에 매칭 비율을 적용하여 산출됩니다. 예를 들어,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의 경우, 정부 기여금 지급 한도는 40만 원이며, 매칭 비율 6.0%를 곱한 24,000원을 매월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60개월 만기까지 유지할 경우, 24,000원(월) x 60개월 = 144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해당 지원금과 은행 이자에 대해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되므로 청년도약계좌는 매우 매력적인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주요 개정내용 정리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최근 발표된 개정내용을 통해 더 많은 혜택과 완화된 조건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번 개정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가구소득 요건 완화

가구소득 중위 180%에서 250% 이하로 개선

이제 청년도약계좌의 가구소득 요건이 중위소득 180%에서 250% 이하로 완화되었습니다. 이는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023년 3월 가입신청 기간(2월 22일 ~ 3월 8일)에 신청한 청년들에게 적용되며, 구체적인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62,336,760원
  • 2인 가구: 103,684,650원
  • 3인 가구: 133,044,480원
  • 4인 가구: 162,028,920원

이 소득 기준은 2023년 7월부터 적용되는 2023년 소득이 확정되어 반영된 것입니다.

 

2. 중도해지 시 지원 강화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에도 혜택 적용

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혜택과 함께 정부기여금을 매칭비율의 60% 수준으로 지급하도록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도해지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 청년들이 일정 기간 이상 계좌를 유지하도록 독려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비과세 적용 관련 조세특례제한법 개정과 정부기여금 지급 관련 예산 확보 등 필요한 조치들을 지속 추진할 예정입니다.

 

3. 특별중도해지 사유 추가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 출산 추가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과 ‘출산’이 추가되었습니다. 이 사유에 해당하여 특별중도해지를 하는 경우, 비과세 적용 및 정부기여금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기존의 특별중도해지 사유는 주택구입,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천재지변, 장기치료 필요로 한 질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번 추가된 사유로 인해 더 많은 청년들이 필요 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도 해지 시 혜택 강화

물론 만기가 5년인 만큼, 기간에 대한 부담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중도 해지 시에도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추진 중인 안에 따르면, 3년 이상 유지할 경우 비과세 및 정부 기여금 일부 지원(매칭 비율의 60% 수준)을 제공할 예정이므로, 3년만 유지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어쨌든 청년도약계좌 8월 신청 기간이 시작되었고, 그 기간도 짧은 만큼 빨리 준비하여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